KT전국민주동지회
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
검색
검색
로그인
소식지/성명서
현장의 목소리
사진/동영상
언론
소개
이름
비밀번호
비주얼
텍스트
최근 국내 게임 아이템 거래 사이트들을 초토화시킨 분산서비스거부공격(DDoS)은 DDoS 기능이 구현된 악성코드에 감염된 일반 PC들에 의한 것으로 드러나 개인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. <P> 7일 한국정보문화진흥원(원장 황중연, KISA)이 발간한 ‘10월 인터넷 침해사고 동향 및 분석 월보’에 따르면 악성 웹사이트 등 인터넷 경로를 통해 Anti.exe 및 Down(1).exe 등의 악성 코드에 감염된 PC들이 원격 조종을 받아 DDoS 공격을 대신하는 ‘좀비 PC’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. <P> 공격자는 감염 PC에 원격으로 명령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공격대상 사이트를 지정, DDoS를 수행했으며 웹 서버를 활용해 원격 명령전달 서버 IP 주소를 주기적으로 바꾸어 가며 감염 PC들을 통제해 왔다. 또 이 악성코드에는 DDoS 기능 외에도 PC 내의 파일 유출과 시스템 주요 정보 파악, 프로세스 통제, 레지스트리 수정 등의 악성 기능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. <P> KISA 측은 PC가 DDoS를 수행하는 ‘좀비 PC’로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운용체계(OS)를 최신으로 패치하고, 백신을 설치하는 등 악성코드에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. 또 네트워크 담당자는 스푸핑 트래픽 차단 설정 등 예방 조치를 취해 피해를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. <P> KISA 인터넷침해사고대응지원센터 관계자는 “DDoS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개인 사용자의 보안 의식 제고가 필수”라며 “일반 안티바이러스 백신은 물론, 윈도 보안 패치 업데이트만 충실히 해도 대부분 감염을 막을 수 있다”라고 말했다. <P> </P>
링크 삽입/편집
닫기
대상 URL을 입력하세요
URL
링크 텍스트
새 탭에서 링크 열기
또는 기존의 컨텐츠에 링크하기
검색
지정된 검색어를 찾을 수 없습니다. 최근의 아이템을 보여줍니다.
아이템을 선택하려면 검색이나 상하 방향키를 사용하세요.
취소